Written By StableVer.&Imperfect
[성층권 촬영]#1. 기본정보 알아보기
목차 |
1. 성층권 알아보기 |
2. 헬륨 알아보기 |
3. 고려할점 알아보기 |
1. 성층권 알아보기
지구의 대기는 크게 4군데로 나눌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에선 5군데로 나누고 있습니다.
정확히는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외기권 으로 나구고 있습니다.
1)대류권
대류가 일어나는 지점이라 해서 대류권입니다.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낮아지기 때문에 뜨거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려는 성질로 인해 대류가 일어납니다.
2)성층권
이 지점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높아집니다. 이유는 오존층이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대류가 일어나지 않아 비행기의 항로로 쓰입니다.
우리는 여기까지 촬영가능합니다. 풍선이 기압이 낮아지면서 커지다가 터져버리기 때문입니다.
3)중간권
여기도 대류가 일어나긴 합니다만 수증기가 없어서 기상현상은 없습니다. 못찍으니 패스
4)열권
여기는 태양복사에너지가 커지면서 노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높아집니다.
5)외기권
여기는 대기권 밖입니다. 우주선이 아니라면 못갑니다.
이렇게 대기권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조사하게 될 최종 목표, 성층권을 알아봅시다.
조사하게 될 내용:
우리가 조사하게 될 내용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고도별 기온이 11㎞까지 떨어지다 그 이상부터는 기온이 올라가는가?
ⓑ구름이 실제로 성층권에서 내려다 보았을때 평평하게 보이는가?
이 문제들을 생각하는 내용은 #2에서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2. 헬륨 알아보기
일단 대부분의 성층권촬영에서 사용되는 방법은 헬륨풍선을 사용하는 것인데요, 헬륨풍선을 사용할 경우가 제일 에너지가 적게 들기 때문입니다.
헬륨은 원소번호 2번, He로, 밀도는 헬륨다음으로 작습니다.
어느정도냐면, 지구의 공기밀도인 약 1.275 kg/㎥ 의 1/7배로 작다고 보시면 됩니다.
(0°C와 1000 hPa에서의 공기 밀도)
공기밀도가 더 작은 수소를 써도 되겠지만...수소는 폭발성 물질이라서 쓰지 않는게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역시 #2에 이어서 하도록 합니다.
3. 고려할점 알아보기
고려할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주변 환경
ⓐ날려 보낼때의 기상상황
ⓑ날려 보낼때 비행체(헬기, 비행기)가 운행여부
②풍선
ⓐ주입해야하는 헬륨의 양
ⓑ풍선의 재질
③카메라
ⓐ카메라 화질
ⓑ카메라 가격
ⓒ카메라 크기 및 무게
'Study > Project : Overlooking Sk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층권 촬영]#6. 최종 정리 (3) | 2014.07.31 |
---|---|
[성층권 촬영]#5. 기상관측장비 (0) | 2014.07.24 |
[성층권 촬영]#4. 착륙한 비행체 회수하기 (0) | 2014.07.22 |
[성층권 촬영]#3. 영상 촬영 방법 알아보기 (0) | 2014.07.17 |
[성층권 촬영]#2. 관련 정보 찾아보기 (0) | 2014.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