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itten By StableVer.
[C언어 강좌]4강 : 변수의 출력&연산자
목차 |
1.컴파일 하는법 복습 |
2.변수를 출력하는 법 |
3.연산기호?연산자! |
1. 컴파일 하는법 복습
일단 저번시간에 정수형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을겁니다.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이 뭐였죠?
그렇습니다.
정수자료형 변수이름;
또는
정수자료형 변수이름 = 대입할 값;
이였죠?
그래서 나온 코드는
1 2 3 4 5 6 7 | #include <stdio.h> int main () { int i; return 0; } |
였습니다.
이걸 컴파일해볼까요?
파일을 생성하는 법을 다시한번 살펴봅시다.
먼저 파일->새로만들기->소스파일 을 해주세요.
그다음엔 그대로 위 내용을 옮겨적으시면 됩니다.
컴파일 후 실행을 누르시거나 키보드에서 F11을 눌러주세요.
넣고싶은 폴더에 원하는 이름으로 넣어주시면 되는데, 파일형식은 무조건 C source files입니다.
이 부분은 저장을 미리 하신분은 보이지 않을 부분입니다.
자, 컴파일이 완료 되었습니다. 저 검은 창이 실행화면인건 아시죠?
이제는 컴파일후 실행을 누르거나 저장을 눌러도 파일저장 화면 은 나오지 않습니다.
이제 파일을 저장했으니 닫아도 그대로 다시 불러올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단 Dev C++창을 닫아보시고, 여러분이 원하는 이름으로 파일을 저장한 폴더에 들어가봅시다.
이렇게 나왔다면 더블클릭으로 파일을 다시 여실수 있지만, 다른 아이콘으로 파일이 표시될 경우엔
파일->열기로 들어가셔서
넣고싶은폴더로 간 다음 원하는 이름.c를 여시면 됩니다.
*원하는 이름.exe 는 지금은 열어봤자입니다. 나중에 설명하겠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변수의 출력과 연산자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2.변수를 출력하는 법
자 다시 우리가 실행한 위의 소스를 볼까요?
실행 결과에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은것 같습니다.
이제 변수를 출력하는 법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변수를 출력하는 법은 이러합니다.
printf("%d",변수);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인지 자세히 설명을 하자면,
%d:이곳이 정수형 변수를 출력할 곳입니다.
변수:이것을 출력할 것입니다.
이해가 잘 안된다고요? 그러면 예제부터 만들도록 합시다.
1 2 3 4 5 6 7 8 | #include <stdio.h> int main () { int i=30; printf("%d",i); return 0; } |
일단 이걸 입력하고 컴파일을 해봅시다.
변수 i의 값인 30이 잘 출력되었습니다.
사실, 꼭 밑에 올 값이 정수일 필요는 없습니다.
1 2 3 4 5 6 7 | #include <stdio.h> int main () { printf("%d",30); return 0; } |
으로 해도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이유는 %d는 정수를 출력한다는것 뿐이지 정수형 변수를 출력하는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른 예제를 볼까요?
1 2 3 4 5 6 7 | #include <stdio.h> int main () { printf("이걸 보세요:%d랑 %d가 있어요",30,50); return 0; } |
이 예제의 결과는 어떨까요?
한번에 이해하기는 힘든 결과가 나왔습니다.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요?
이렇게 맨앞의 %d는 따옴표뒤에 나오는 맨앞의 값을 표시하게되고,
두번째 나오는 %d에는 따옴표뒤에 나오는 두번째 값을 표시합니다.
만약 %d를 100번썻다면 100번째의 %d는 따옴표뒤에 나오는 100번째의 값을 표시하게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다음의 예제의 결과를 예측해 보고, 직접 컴파일을 해서 예측한 결과와 비교해 봅시다.
1 2 3 4 5 6 7 8 9 | #include <stdio.h> int main () { int i=10; int dd=50; printf("얘는 %d고 몸무게는 %d고 아이큐는 %d이다.",i,30,dd); return 0; } |
3.연산기호?연산자!
이제 변수를 사용하여 단순히 출력만 하는것이아니라, 사칙연산을 해서 결과를 출력하여 봅시다.
일단 C언어가 할수있는 연산은 덧셈, 뺼셈, 곱셈, 나눗셈 등이 있습니다.
기호 |
설명 | 예시 |
+ |
더하기 | c=a+b; |
- |
뺴기 | c=a-b; |
* |
곱하기 | c=a*b; |
/ |
나누기 | c=a/b; |
이제 위의 표를 참고해서 만든 예시를 봅시다.
1 2 3 4 5 6 7 8 9 | #include <stdio.h> int main () { int a=10; int b=5; printf("덧셈 : %d, 뺼셈 : %d, 곱셈 : %d, 나눗셈 : %d",a+b,a-b,a*b,a/b); return 0; } |
위의 결과처럼 %d에는 뒤에 써진 식의 결과가 표시됩니다.
이제 다른 연산자도 배워 봅시다.
% : 이 기호는 나눗셈후의 나머지를 알려줍니다. 예를들어 10%7 같은 경우 몫은 1이고, 나머지는 3이 나옵니다. 이때 나머지인 3을 출력하게 됩니다.
오늘 강좌는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다음강좌 |
[C언어 강좌]4강 : 변수의 출력&연산자
'Programming > C Lang L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언어 강좌]6강 : 변수에 대한 이해(문자형) (0) | 2014.07.21 |
---|---|
[C언어 강좌]5강 : 변수에 대한 이해(실수형) (0) | 2014.07.19 |
[C언어 강좌]3강 : 변수에 대한 이해(정수형) (0) | 2014.07.13 |
[C언어 강좌]2강 : C언어로 만드는 첫번째 프로그램, Hello world! (0) | 2014.07.12 |
[C언어 강좌]1강: C언어 IDE, Orwell Dev C++ 설치하기 (0) | 2014.07.10 |